○ 발달장애인의 농업활동 현장조사 결과- (대상자) 농업활동은 발달장애인 중 지적장애인이 적정하며 대상자의 상위 10~20%는 단순반복업무를 수행 및 스스로 출퇴근 가능* 대상자가 안전하게 방문할 수 있는 거리와 교통편을 고려한 위치에 농장설립 필요- (적합업무유형) 대상자는 단순반복업무에 적합, 재배활동을 단계화, 단순화하여 프로그램 운영 필요* 대상자는 단계별 2∼3공정씩으로 이루어진 단순 반복작업을 선호- (적정식물) 연중 일정량 작업이 필요하고, 단가가 낮아 식물체의 고사 등 손실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엽채류, 분화류를 중심으로 접근 필요- (안전관리) 대상자의 정신연령(5~7세정도)를 고려 시 농약, 비료 등 독성물질 사용을 최대한 자재해야함- (교육·훈련) 발달장애인의 증상범위는 매우 넓기 때문에 직무능력을 단정지을 수 없으며 교육, 훈련에 따라서 능력이 달라질 있는 여지가 있음☞ 대상자의 학년기부터 텃밭놀이, 농업활동, 영농교육 등을 통하여 접근필요○ 프로그램별 발달장애인의 농업활동 조사 결과,- (파종) 트레이(72공)를 이용 3가지(소, 중, 대립)종자를 3줄(1줄당 셀 8개)씩 파종 프로그램* 파종을 위한 준비물, 복토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음* 일부 대상자는 3줄 이상 파종, 한셀에 종자를 많이 파종, 개인간 파종속도 차이 발생, 라벨에 식물명 작성이 어려우나 보고 따라서 작성은 가능함- (삽목) 트레이(72공)를 이용 3가지 삽수를 3줄(1줄당 셀 8개)씩 삽목 프로그램* 세덤 : 단순이 잎을 따서 삽목, 로즈마리 : 줄기를 적정 길이로 잘라서 삽목* 스킨답서스 : 잎과 부정근을 포함하게 줄기를 재단하여 삽목* 72공 트레이에 1/3씩 식재하도록 하였으나 일부 대상자는 3줄 이상 식재* 세덤, 로즈마리 삽목은 원할히 수행하나 스킨답서스는 부정근 없이 삽목하는 문제 발생- (정식) 채소류는 식재간격, 화훼류는 화단디자인 후 식재 프로그램* 채소류(배추, 상추, 파) 식재 시 식재간격을 조절하는 문제 발생* 화훼류(국화, 000) 식재 시 틀밭에 식재디자인 후 정식하라는 지시는 수행하지 못함. 디자인을 강사가 결정해 준 뒤 수행가능- (수확) 배추, 파, 국화꽃 수확 프로그램* (하엽제거) 배추는 정상엽과 하엽의 구분이 명확하여 하엽제거를 잘 수행함* (국화잎 수확) 국화는 낙엽진꽃과 정상꽃의 구분이 어려워 원활히 수행하지 못함* (파자르기) 모종을 자르는 기준을 어려함, 손바닥 정도만 남기고 자르라고 지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