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업이란

도시농업 정의

  도시농업은 ‘도시+농업’의 합성어이다.
도시는 도시라는 공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시, 도회지 등 개념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인구학적으로 일정한 규모 또는 인구밀도를 초과한 지역으로 규정된다. 도시에는 인구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경제적 특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도시의 공간적 개념 규정 역시 다양하다. 도시와 동일한 개념으로 시가 있는데, 우리나라는 5만 명이상인 지역을 시로 규정하며, 인구규모 2만 명 이상, 2·3차의 동시적 산업 종사자율이 40% 이상인 지역을 읍으로 규정하고 있다.

  농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Korea Standard Industry Code)에 의해 생산단위가 주로 수행하는 산업 활동을 그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하였다. ① 농사를 짓는 직업, ② 땅을 이용하여 유용한 식물을 재배하거나 유용한 동물을 먹이는 유기적 생산업, ③ 노동과정의 측면에서 볼 때 일정한 토지표면의 규칙적·반복적 이용과 관련된 인간 활동이며, 그 목적은 식물적·동물적 생산물의 획득에 있다.
따라서 어원적으로는 도시라는 공간에서 도시민의 농사를 짓는 행위, 또는 땅을 이용하여 유용한 식물을 재배하거나 유용한 동물을 먹이는 유기적 생산업이라 할 수 있다.

  다양한 문헌에서도 ‘도시민이 도시공간에서 농사활동으로 생산적인 여가활동과 건강한 삶의 영위를 꾀하는 농업’이며, 광의 도시농업은 ‘도시와 농촌의 교류를 통하여 농업인과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가족 그리고 이웃들과 공동체를 형성하면서 생산된 농산물은 자급용으로 쓰이고 가까운 이웃들에게 나누는 비영업적인 것이며, 업으로 하는 농촌농업(Rural agriculture)과는 구별이 필요하다.
법률적으로 도시농업의 유석 및 지원에 관한 법률(시행 2013. 03. 23)을 마련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인 도시환경을 조성하고 도시민의 농업에 대한 이해를 높여 도시와 농촌이 함께 발전하는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법에서 사용하는 도시농업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도시농업이란 도시지역에 있는 토지, 건축물 또는 다양한 생활공간을 활용하여 농작물을 경작 또는 재배하는 행위로서 도시지역에 있는 토지, 건축물 또는 다양한 생활공간을 활용하여 취미, 여가, 학습 또는 체험 등을 위하여 농작물을 경작하거나 재배하는 행위를 말한다.

관련 용어 알아보기
용어 영문표기 정의 관련대상 주요 활동
도시농업 Urban agriculture 농업 활동과 체험을 통해 도시민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먹을거리를 제공하며,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농업이다 소비자, 생산자, 관련업자 도시 및 도시의 농업 소비자와 관련된 문제점 농업적 해결
도시원예 Urban horticulture 도시의 소비자가 원예활동과 원예체험을 통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먹을거리를 제공하며,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원예이다. 소비자, 생산자, 관련업자 도시 및 도시의 원예 소비자와 관련된 문제점 원예적 해결
생활원예 Horticulture for living
or
Life horticulture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생활 주변에서 화훼, 채소, 과수를 가꾸고, 즐기며,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원예활동이다. 소비자 여가선용 등 원예소비자의 문화욕구 충족
원예치료 Horticultural therapy 사람의 사회적, 교육적, 심리적, 신체적 적응력을 향상시켜 몸과 마음과 영혼을 개선시키기 위해 소비자, 생산자 원예와 인간 사이의 상호관계를 통한 건강한 삶 추구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