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수요에 따른 실내식물의 유행 변화를 고려하여 관엽식물을 포함한 분화, 유실수 등 실내식물로의 이용이 확대되는 식물의 미세먼지 저감량 정보를 제공함□ 배경○ 소비자의 수요에 따라 유행하는 실내식물 종이 변화하고 있으나 그에 대응한 미세먼지 저감 정보 부족- 주로 관엽식물이 실내식물로 선호되었으나 최근 유실수 등 다양한 형태의 식물 선호 증가○ 다양한 식물의 지속적인 미세먼지 저감효과 구명 필요- 정량적으로 분석된 결과 수치 없이 ‘공기정화식물’로 판매되고 있는 식물이 대다수□ 개뱔된 영농기술정보○ 실내식물 10종의 미세먼지 제거량 구명- 페어리스타(일일초 개량종) 206.5(㎍/㎥/㎡ leaf area), 칼라 195.3, 사계귤나무 180.5,올리브나무 161.4, 레몬나무 158.4 등○ 미세먼지 제거 식물 TOP5(2019) 대비 미세먼지 저감량□ 파급효과○ 다양한 형태로 된 식물의 미세먼지 저감효과 구명으로 인한 다양한 소비층 확보○ 분화류 및 관상용 유실수의 실내 도입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