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적○ 향후 치유농업의 현황 파악과 이에 기반한 정책 수립에 활용하고자 산업으로써의 치유농업의 명확한 범위를 규정○ 치유농업 육성사업에 참여하였던 농장의 세부 사업 비중 정보를 제공하여 중앙 정부 및 지자체의 치유농업 사업 추진에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함□ 개발된 영농기술정보○ 치유농업 산업의 분류체계는 한국표준산업분류, 가치사슬체계, 치유농업 방법론 및 평가체계 연구에 기반하여 분류체계 요인을 구성○ 치유농장 전체 매출액은 36억 9,100만원이였으며, 치유농업 본 사업분야가 17억 6,22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치유농업 투입재 산업 14억 9,120만원, 치유농업 관련 서비스업은 4억 3,760만원이었음○ 분류체계에 기반하여 치유농장의 사업 비중을 조사한 결과, 매출액이 가장 큰 주 사업 분야로는 공동체 서비스 교육(23개소), 치유농업 농산물 재배업(19개소), 정신적 재활치료(19개소)였음□ 활용방법○ 각 지자체의 치유농업 육성 조례에 의해 지역별 치유농업 사업 현황 조사시 객관성,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본 분류체계를 활용○ 공동체 서비스, 치료 및 사회적 재활을 위한 사회목적형서비스와 연계, 강화시킬 수 있는 사업 기획에 반영하여 치유농업 확장성 제고에 활용□ 파급효과○ 치유농업 발전을 위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한편, 중앙 및 지방정부, 관련 기관에서 실시하는 실태조사의 방법적 기반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