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장에서 운영 중인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활용 자원에 대해 살펴본 결과, ‘식물’이 58.8%,‘농촌환경·문화’(14.5%), ‘동물’(10.3%) 등의 순이었음○ 식물매개 프로그램 내용은 ‘수확 후 요리, 만들기 등의 가공이나 이용 활동’이 41.2%로 가장 높았음- ‘밭 만들기, 파종, 수확, 가공, 이용 등 농업의 전 과정’(27.1), ‘물주기, 잡초 뽑기, 수확 등 재배의 일부 단계(10.6)’ 등의 순이었음○ 치유농장에서 주로 심는 식물은 ‘고구마’가 가장 많았으며(20%), ‘고추(15.9)’, ‘감자(14.7),였으며‘허브(14.1), 배추(14.1)이었음○ 치유농업 매출액이 3천만원 이상인 농장에서는 화훼류, 허브 비율 높음- 구체적인 재배수익 식물로는 라벤더(16.7), 로즈마리(14.3), 메리골드, 국화, 호박, 유칼립투스가 각 9.5%, 수국, 다육, 민트, 세이지가 각 7.1%이었음○ 프로그램에 활용 식물 선택은 1+2순위 응답 기준으로는‘참여자의 반응(61.2%),’‘치유기능성(58.8)’,‘재배후 지속적 관리의 용이성(38.8)’순이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