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의 기능성 구명 및 가치 평가
그린인테리어용 절화, 분화의 향, 색 기능성 및 장식적 요소의 가치평가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원예식물의 산업 활성화 및 실내식물 활용 공간을 확대하고 화훼농가의 소득향상과 국민의 화훼식물에 대한 인식을 높임과 동시에 식물에 따른 심리/생리적 유용한 효과를 과학적으로 구명하고자 하였다.
식물의 향, 색 기능성 구명을 위해 뇌파, 심전도 및 감성 등 생리/심리실험을 하였다. 식물 향이 인간의 감성 및 생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에서 정유향보다 실제 식물향이 쾌적감, 안정, 이완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분화 및 절화의 색채가 인간의 감성 및 생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심리/생리적 실험을 한 결과 인공색보다 실제식물을 보았을 때 안정, 이완효과가 높았고, 절화는 녹색, 흰색을 보았을 때 적색보다 안정, 이완 효과 높게, 파란색, 흰색을 보았을 때 주황색보다 쾌적성, 안정, 이완효과 높게, 파란색보다 흰색이 집중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설문조사결과 분화는 7가지 색채중 녹색, 무늬색이 높게, 절화는 파란, 노란, 흰색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분화장식활동과 사무활동이 생리/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사무활동을 했을 때보다 장식활동을 했을 때 안정, 이완효과, 집중력 및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를 통해 원예식물의 유용한 효과에 대해 과학적으로 구명하였다.
그린인테리어 식물의 이용기준 설정 및 장식요소 가치평가 기준설정을 위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화 및 절화를 이용한 그린인테리어 공간에서 기분상태지수가 부정적 감정은 낮게, 긍정적 감정은 높게, 주의력회복지수도 높게 나타났다. 실내식물에 따른 효과(공기정화, 아토피치유, 심리적 안정, 근무자 작업능률효과)가 좋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46종의 식물을 형태적 특성에 따라 Filler, Mass, Form, Line plant로 분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