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도시텃밭 환경변화 평가 및 관리방법에 관한 연구
○ 1세부과제명 : 도시텃밭의 자원 재활용 기술 개발
- 국내외 부산물 재활용 방법 및 국내외 기술동향, 국내 텃밭 실태조사하고 도시텃밭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 탐색 및 분석을 통해 텃밭용 12가지 작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텃밭 부산물 재활용을 위한 퇴비화 실시 및 조건 구명연구를 통해 소량의 텃밭부산물로 퇴비만들기로 만든 퇴비를 텃밭 밭갈이 작업시 토양혼화 후 20일무를 재배한 결과 퇴비무시용보다 생육이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도시텃밭의 부산물 재활용 매뉴얼 개발을 개발하였다.
○ 1협동과제명 : 도시텃밭의 토양관리기술 및 활용 컨텐츠 개발
- 도시텃밭의 토양환경 특성평가 : 토양 화학성은 작물별로 차이를 보여 소규모로 경작하는 도시 텃밭의 특성이 반영하며, 일반 농경지보다 화학성이 낮았다.
- 도시텃밭의 식물상조사 : 서울, 수원, 광주텃밭에서 24과 61종의 잡초가 출현하였고, 바랭이, 돌피, 쇠비름이 우점하였다.
- 도시텃밭의 병해충 조사 : 텃밭에서 재배되는 작물중 가지의 해충 발생량이 가장 많았다.
- 친환경 도시텃밭용 친환경농자재 제조 매뉴얼: 친환경농자재 12종 활용방법 소개하였다.
- 도시텃밭 활용 컨텐츠 개발 : 농작업 활동을 5개 유형으로 25 콘텐츠 구분하였다.
○ 2협동과제명 : 도시텃밭의 무생물적 환경변화 조사 및 토양 건전성 평가기술 개발
- 도시텃밭 토양질 평가 단계로 도시텃밭의 주요한 토양 화학적 지표를 도출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 지역 130개 도시농업 토양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질소, 유기물, EC, pH 4개 인자가 주요한 도시농업 토양의 화학적 지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발된 지표를 기준으로 도시농업 토양의 양분 건전성을 평가하였다. 62개소 130점 토양 시료 조사 결과 62%에 해당하는 81점의 시료가 토양 양분 측면에서 다소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시텃밭 토양질 주요지표 중 토양 pH가 가장 관리가 시급한 지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점수화된 도시텃밭의 토양 화학적 지표를 기반으로 토양환경 관리방안을 제시한다면 체계적이고 정량화된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3협동과제명 : 도시텃밭의 생물적 환경 변화 조사
- 유기농법과 관행농법에 따른 도시텃밭 토양의 생물학적 질(미생물 활성도 및 군집특성, 효소활성, 기초호흡량) 평가하였으며, 국내 도시텃밭 토양의 생물학적 질 개선을 위한 관리방안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