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란다 공간 활용 증진을 위한 유용작물 배치 및 관리 기술 개발
1.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식물바이오필터를 활용한 바이오빌딩 현장적용기술개발
2. 연구개발성과
○ 건물외측 공간적용 바이오필터의 유체흐름 제어기술 개발
- 바이오필터의 배지조성에 따른 압력손실 저감 연구
- open형 바이오필터의 유체흐름 제어기술 적용 디자인 개발
○ 건물내측 공간 적용 바이오필터의 유체흐름 제어기술 개발
- 유체흐름 방향 제어에 따른 바이오필터 효과 구명
- 유체흐름 제어기술 적용 close형 바이오필터 디자인 개발
○ 제어 시스템 적용 바이오필터의 실내공기질 개선효과 검증
- 유체흐름 제어기술의 적용을 통한 실내공기질 개선효과 분석
○ 실외 Access floor형 바이오필터 시스템 개발
- 식생기반재 개발 및 적용가능한 식물 모델개발
- 바이오필터 디자인 개발
○ 실내형 바이오필터 시스템 개발
- 바이오필터 기술 적용 디자인 개발
○ 바이오필터 메뉴얼 개발
- 메뉴얼 제작에 필요한 도면 작성
- 개발 내용을 토대로 시공 및 관리 메뉴얼 작성
○ 실외․실내형 바이오 공조시스템 개발
- 바이오 필터시스템을 적용한 바이오 공조시스템 기술 연구
- 바이오 필터시스템을 적용한 바이오 공조시스템 개발
- 바이오 공조시스템 성능 검증 및 최적화
○ 바이오 공조시스템 메뉴얼 개발
- 메뉴얼 제작에 필요한 도면 작성
- 개발 내용을 토대로 시공 및 관리 메뉴얼 작성
○ 개발시스템 간 연계 실외형 바이오빌딩 디자인 개발
- Access Floor형 녹화유니트 기반 실외형 바이오빌딩 디자인 개발
- Access Floor형 바이오빌딩 디자인요소의 3D프린팅 기반 Mock-Up
3.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 개발시스템 간 연계 실내형 바이오빌딩 디자인 개발
- 개발 시스템 간 연계 실내형 바이오빌딩 디자인 개발
- 실외형 바이오빌딩 주요 디자인요소의 3D프린팅 기반 Mock-Up
○ 실내·외형 바이오빌딩 표준디자인 개발 및 현장적용
- 개발 시스템 간 연계 실내‧외형 바이오빌딩 표준디자인 개발
- 건축물 적용에 따른 실내공기질 개선 및 에너지저감 실증
○ 바이오 필터시스템이 적용된 바이오 공조시스템 개발
○ 실내 공기질 개선 효과가 있는 공기정화 식물과 공조시스템연계를 통한 바이오빌딩 시장 창출 및 확대에 기여
○ 건물의 기존 공조시스템과 연계 가능한 범용 Bio-Filtration 시스템 개발을 통해 기능성 식물관련 기술 중에서 해외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식물대기정화 기술에 대한 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됨
○ CFD 유로설계가 적용된 실내‧외형 바이오빌딩 표준디자인 개발을 통해 정량적인 환경지표 개선이 가능한 생태적 시스템 개발이 예상됨
○ 주요 디자인 요소의 3D 프린팅 기반 Mock-Up을 통해 바이오빌딩 디자인 현장적용성 증진이 기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