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미세먼지 제거 원리 및 효율 구명
1.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식물에 의한 미세먼지 저감 기작 및 식물별 효율 구명
○ 실내식물, 정원수 미세먼지 제거 효율 탐색 및 구명
○ 식물 잎의 흡착에 의한 제거 효율 구명
○ 실내식물, 자생식물 미세먼지 저감 특성 비교 및 제거 효율 구명
○ 식물 잎의 흡수에 의한 제거 효율 구명
○ 식물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와 미세먼지 제거 관계 탐색
2. 연구개발성과
○ 실내식물 10종에 대한 미세먼지 저감 효율 구명
- 초미세먼지(PM2.5)의 단위엽면적당 저감 효율은 파키라(155.8 ug·m-3·m-2), 디펜바키아(139 ug·m-3·m-2), 박쥐란(133.6 ug·m-3·m-2) 순으로 우수하였음
- 미세먼지(PM10)의 단위엽면적당 저감 효율은 디펜바키아(197.5 ug·m-3·m-2), 파키라(162.6 ug·m-3·m-2), 박쥐란(145.1 ug·m-3·m-2) 순으로 우수하였음
○ 실내식물 10종 중 미세먼지 저감 효율이 우수한 파키라, 디펜바키아, 박쥐란 선발
○ 정원수 6종에 대한 미세먼지 저감 효율 탐색
○ 미세먼지 저감 효율이 높은 식물은 파키라, 백량금, 디펜바키아인데, 이들 잎 아랫면의 구조는 주름이 크고 많은 형태이다. 미세먼지 저감 효율이 낮은 식물은 남천, 홍콩야자, 떡갈나무이며, 이들 잎 아랫면에는 잔털이 많았다. 식물 잎 형태별로 살펴보면 침엽식물의 PM10 저감량이 다른 식물들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침엽 식물의 잎 표면 왁스층 무게가 다른 식물들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침엽수의 기공은 잎의 앞과 뒤에 골고루 나타났다. 침엽식물의 왁스층이 미세먼지 저감에 positive effect를 준 것으로 사료된다.
3.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식물 종류별 미세먼지 저감 기능성 구명
○ 식물의 흡수, 흡착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 메커니즘 구명
○ 국정과제 58. 미세먼지 걱정 없는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 수행
○ 헬스케어식물을 통한 생활 속 미세먼지 저감
○ 생활공간 미세먼지 저감으로 국민의 생활 속 건강증진
○ 원예식물 소비확대를 통한 산업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